연습/상담심리학

상담심리학의 현재와 미래 - 13

Sun_bridge 2023. 2. 16. 05:07
반응형

1964년 글랜즈는 상담 분야가 플로트삼과 제트삼을 많이 닮았다는 것을 관찰했다.
그러한 인식과 동일한 정보를 풍부하고 발전하는 개입 시스템의 증거로 해석할 수 있는 인식의 차이는 상담을 인간의 복지를 향상시키는 한 가지 방법보다는 그 자체의 목적으로 인식하기 때문이다.
문제는 상담심리학을 이분법적 관계나 소그룹 관계에 국한시켜야 하는지, 아니면 17부의 원래 목표를 달성하는 데 있어 더 큰 유연성을 허용할 또 다른 호칭 변경을 고려해야 하는지이다.
우리는 우리가 1952년 성명의 목표에 그 어느 때보다 가깝고 우리의 제목이 그 목표들을 반영하고 격려해야 한다고 믿는다.

 

지속적인 관심을 요구하는 주요 질문은 상담 심리학이라는 제목이 우리가 직업으로서 무엇이고 무엇을 하는지를 정의하는 정도와 우리가 목적을 달성하는 방법을 결정하거나 그것을 정확하게 반영하기 위해 제목을 선택하는 전문가로서의 역할이다.

이 논문의 주요 논제는 우리의 제목이 개인으로서 그리고 조직으로서 우리의 활동을 형성하는 역할을 한다는 것이다. 우리가 움직이고 있는 방향을 자각하고 우리가 무엇을 하고 싶은지, 무엇을 부르고 싶은지를 결정하는 데 적극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 급선무다.

 

만약 오늘 조사가 이루어진다면, 우리는 아마도 60년대 후반과 70년대 초반보다 훨씬 적은 수의 마라톤 그룹을 발견할 것이다.

한 가지 이유는 많은 다른 기술들의 성과만큼 성과가 크지 않기 때문이다.

그러나 그것이 인간의 성장에 영향을 미치는 정도까지는 상담심리학의 영역 안에 있었다.

만약 누군가가 50년대 초에 고객 중심의 치료가 상담 심리학의 범위에 있지 않다고 결정했다면 우리의 전문 분야에 대한 손실을 생각하면 몸서리가 쳐진다
평가 기법으로서의 시험의 체계적인 무시.

상담은 결과가 아니라 과정이다.
우리는 그 과정을 인간의 발전을 촉진하려는 우리의 궁극적인 목표와 구별할 필요가 있다.

우리가 무엇이 되고 싶은지를 성공적으로 결정하고 상담 심리학 제목과 지정에 합법적인 활동으로 포함시킬 수 없다면, 우리는 변화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REFERENCES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Division of Counseling and Guidance, Committee on Counselor Training.

The practicum training of counseling psychologists.

The American Psychologist, 1952, 7, 182-188. (a)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Division of Counseling and Guidance, Committee on Counselor Training.

Recommended standards for training counseling psychologists at the doctoral level.

The American Psychologist, 1952, 7, 175-181. (b)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Criteria for accreditation of doctoral training programs in psychology. Washington, D.C.: American Psychological Association, 1973. Aubrey, R. F. Historical developments of guidance and counseling and implications for the future.

The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1977, 55, 288-295. Carkhuff, R. R. Helping and human relations (2 vols.). New York: Holt, Rinehart & Winston, Inc., 1969.

Cochran, D. J., Hoffman, S. D., Strand, K. H., & Warren, P. M. Effects of client/ computer interaction on career decision-making processe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977, 24, 308-312. Grinnell, R. M., Jr., & Lieberman, A. Teaching the mentally retarded job interviewing skills.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977, 24, 332-337.

Hurst, J. C. Chickering's vectors of development and student affairs programming. In C. A. Parker (Ed.), Encouraging development in college students.

Minneapolis: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78. Krauskopf, C. J., Thoreson, R. W., & McAleer, C. A. Counseling psychology: The who, what, and where of our profession.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973, 20, 370-374. Magoon, T. M. College and university counseling centers' 1975-76 annual data bank. College Park, Md.: University of Maryland, University Counseling Center, 1976.

Morrill, W. H., & Banning, J. H. Counseling outreach: A survey of practices. Boulder, Colorado: Western Interstate Commission of Higher Education, 1973.

Morrill, W. H., Oetting, E. R., & Hurst, J.C. Dimensions of counselor functioning. The Personnel and Guidance Journal, 1974, 52, 354-360. Munley, P. H. A content analysis of the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Journal of Counseling Psychology, 1974, 21, 305-310. Parker, C. A. Encouraging development in college students. Minneapolis, Minn.: University of Minnesota Press, 1978. Rogers, C. R. Client-centered therapy.

Boston: Houghton Mifflin, 1951.

반응형